MaaS에 대한 이해 (개념, 서비스 수준, 생태계, 그리고 사례)
제약적 요건과 해결해야 될 과제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동수단이 도입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, 서비스로서의 이동성(MaaS)에 대한 수요와 기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.
본 고에서는 MaaS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을 살펴보고, MaaS를 구성하는 이해관계자가 포함된 생태계의 형태와 대표적인 MaaS 플랫폼 및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.
우선 관련 용어에 대해 간단히 정의를 살펴보기로 한다.
MaaS에 대한 공통된 정의는 없는 상태이며, 국내에서는 스마트 시티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스마트 모빌리티를 확장된 MaaS의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, 스마트 시티 관점 이외에는 MaaS를 ‘서비스로서의 이동(Mobility)’으로 정의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초점을 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.
1. 모빌리티(Mobility) : (영어사전)’이동성, 기동성’으로 해석됨. (국어사전) 이동성은 ‘한 곳에 머무리지 아니하고 자주 옮겨 다니는 성질’로 설명됨. 이동성에는 목적성이 내포되어 있어서, 무엇인가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행위로 정의될 수 있음.
2. Mobility 4.0 : 제조업 관련 Industry 4.0을 참조로 나온 콘셉트로 주로 자동차 관점으로 정의하고 있음. ICT와 자동차 산업의 융합이 실현되면서 실현 기술로 자율주행, 연결성, 공유 모빌리티 등이 자리매김하였음.(출처 : 모빌리티 4.0 시대의 혁신과 새로운 기회, 2016.11.30., NIA)
3. 스마트 모빌리티(Smart Mobility) : (국립국어원) 스마트 모빌리티, 퍼스널 모빌리티 ; ‘전기 자전거, 전동 휠, 전동 킥보드 등 전력을 동력으로 한 차세대 개인용 이동 수단’으로 정의하고 있으나, 이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개념보다는 협의로 정의하고 있음. 이에 보다 일반적 의미의 스마트 모빌리티는,
- (사용자 측면 정의)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업무, 여가, 사교 활동을 동시에 즐기는 것으로 정의
- (시스템 측면 정의) 기존 도로 효율을 저해하는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고 도로 용량을 확대하여 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막힘없는 도로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교통/차량/도로/통신 융복합 기반의 체계 종합형 시스템 기술로 정의 (출처 : 한국교통연구원)
4. MaaS(Mobility as a Service, 서비스로서의 이동 or 통합교통서비스) : 공유주차와 모든 이동수단(공유차량 및 대중교통)을 통합 검색 · 결제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설명하고 있음(출처 : 국토교통부 보도자료, 2020.4.24)
-
참고로, Frost & Sullivan(비즈니스 컨설팅 회사)은 자동차에 대한 Ownership에서 Usership으로의 변화를 WAVE1으로, 더욱 확장된 개념으로써 Mobility as a Service로의 변화를 WAVE2로 개념화하고 있음
![]() |
-
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, MaaS는 승용차, 대중교통과 같은 보편적 교통수단뿐 아니라 공유 교통(카셰어링, 자전거 셰어링, 라이드 셰어링), 자율주행차, PM 등 새롭게 등장한 모든 것을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음(출처 : 서울형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방안, 2019.9.9.,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)
MaaS의 개념을 도식화한 2가지의 개념도는 다음과 같다. 다양한 이동수단 외 정보제공, 결제, 주차, 교통관리 등을 포함하고 있음
![]() |
![]() |
* 출처 : 서울형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방안, 2019.9.9.,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** 원출처 : Tiffany Dovey Fishman, 2012, Digital-Age Transportation The Future of Urban Mobility, Deloitte |
* 출처 : 인프라 산업, 4차 산업혁명과 만나다, 2018, 삼정 KPMG경제연구원 |
MaaS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통합 정도에 따라서 MaaS의 Level을 구분하기도 한다.
-
2017년 발표된 논문 인 “The topology of Mobility as a Service : A proposed tool for understanding requirements and effects, and for aiding the integration of societal goals”(Jana Sochor 등)에서는 0에서 4까지로 통합 수준을 정의하고 있다.
![]() |
* 0 -No Integration 각각의 교통 옵션(서비스)이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상황
1 -Integration of information: Multimodal travel planner, price info 복수의 여행 계획,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
2 -Integration of booking & payment: Single trip - find, book and pay 개별적인 이동에 대한 검색, 예약, 결제를 지원
3 -Integration of the service offer: Bundling/subscription, contracts, etc. 개별적인 이동뿐 아니라 서로 다른 교통 옵션을 번들이나 패스를 통해 제공
4 -Integration of societal goals: Policies, incentives, etc. 사회적 목표 달성에 활용
-
컨설팅 그룹인 BCG(Boston Consulting Group)에서는 4단계로 정의하고 있다. (출처 : Seeking perpetual motion with Mobility as a Service, 2019, BCG)
![]() |
또한, 일본에서는 통합을 목표로 MaaS를 ‘서비스 통합형’, 각 교통사업자가 각각의 수송 모드를 단독 서비스로 제공하여 편리하도록 하는 ‘서비스 고도화형’ 및 수송서비스 자체가 아닌 주변 서비스와 관련하여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는 ‘기타 관련 비즈니스형’으로 분류하고 있다.
분류명 |
개요 |
예 |
|
광의의 MaaS |
서비스 통합형 (협의의 MaaS) |
복수의 이동서비스에 일원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대중교통의 편리성을 강화하고 효율화를 도모. |
Whim(핀란드) my route(서일본 철도, 도요타자동차 등) |
서비스 고도화형 |
통합만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지만, 각 교통수단의 편리성을 높이려고 노력. 자율주행 등의 기술이 발전하고, 데이터 연계가 진행됨으로써 기존의 설계·개발·제조 등의 영역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영역에서 어떤 가치를 제공하느냐가 중요. |
자율주행 등 e-Palette (도요타자동차) 카셰어, 라이드 셰어 |
|
기타 관련 비즈니스형 |
새로운 기술의 보급에 따라 고도화가 진행된 서비스에서 이동과 관련된 것이나 MaaS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것들을 MaaS라고 부름. |
주차장 세큐리티 유지보수 보험 및 금융서비스 |
* 출처 : 한국교통연구원 블로그, 2019.2.16. https://koti10.blog.me/221474384297
MaaS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역할이 나눠진 ‘통합 교통서비스’로서 생태계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. Transport System 회사인 영국의 CATAPULT는 MaaS의 이해관계자, Value Chain, Architecture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음.(출처 : Mobility as a Service : Exploring the Opportunity for MaaS in-the UK, 2016, CATAPULT)
1. MaaS 이해관계자
구분 |
역할 |
고객 (MaaS Customers) |
MaaS 서비스 소비 |
MaaS 제공 주체 (MaaS Providers) |
고객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M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치를 창출 |
데이터 제공 주체 (Data Providers) |
MaaS 제공자와 교통서비스 제공자 사이에서 데이터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중개 |
교통 서비스 운영주체 (Transport Operators) |
교통 자산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차장, 전기차 충전소, ITS 등 관련 인프라를 제공 |
2. 이해관계자 간의 가치사슬(value chain)
3. MaaS 이해관계자를 구성하는 아키텍처 : MaaS는 이해관계자 간 Value와 Value를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시스템과 이를 종합적으로 연계한 구성으로 서비스되는 하나의 eco system을 구성하고 있다.
![]() |
다음은 MaaS 구축을 위한 방안 또는 사례에 대한 것으로 실제 MaaS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.
1. 서울형 MaaS 도입방안 (출처 : 서울형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방안, 2019.9.9.,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)
-
확장성과 유연성을 고려한 개방형 시스템을 지향
-
민간과 협업을 위한 공동 플랫폼을 구축하고, 공공은 수익성이 부족한 분야에 서비스를 집중
-
서울시 보유 교통정보뿐 아니라 관련 데이터들도 공유할 수 있는 통합 정보제공 여건을 조성한 후 예약과 결제 서비스, 부가 서비스로 발전하는 단계적 접근 시도
MaaS 생태계 도입방안 ![]() |
MaaS 플랫폼 구축방안 ![]() |
2. 도쿄대학의 온디맨드 교통 시스템(라이드 셰어링 시스템을 통한 구축) (출처 :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현황과 미래, 2019, NIA)
- 도쿄대 대학원 신영역창성과학 연구과에서 Full-demand 방식의 운행계획 방식을 치바현 카시와시에서 실증실험 진행(2004년)
3. 도요타 MSPF (카셰어링 시스템을 통한 구축) (출처 :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현황과 미래, 2019, NIA)
-
MSPF는 차량과 운전자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API 형태로 공개해서 보험사, 응급서비스, 원격 차량 관리 및 컨시어지 서비스, 원격 차량관리 등의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함.
4. 대중교통과 공유 서비스가 연계된 MaaS 서비스 사례(출처 :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현황과 미래, 2019, NIA)
가. MaaS Global : 핀란드 헬싱키 소재의 업체로 국가적 차원에서 정부가 직접 MaaS를 계획하고 지원을 하는 Whim App을 상용화함
- 서비스 사용 순서는 목적지 설정→최적경로&수단 추천→자동 예약 및 교통수단 대기→결제 or월정 액 지불을 하는 형태로 최적화 경로와 교통수단/지불 정보를 제공함. 헬싱키 내의 트램/버스/택 시/오토바이/렌터카/공공자전거까지 모두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
- 지불 방법은 개별 이용 혹은 월정액으로 89유로/249유로/389유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며, 목적지까지 Seamless 한 대기 없는 서비스 제공(교통 환승/Car예약 등을 실행)이 특징
나. Moovel Group : Daimler의 Mobility-as-a-Service 서비스 자회사로 출범
- 버스, 지하철, 자동차 공유, 자전 거 공유 및 택시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대중교통을 번들로 묶어 멀티 모달 운송 솔루션을 형성하고 있으며, 항공권 예약, 지불까지 가능함
- 2015 년에 통합 예약 및 지불 기능을 갖춘 최초의 MaaS 플랫폼을 출시
다. Conduent : 2016년 10월 6일에 Xerox는 2010년에 인수한 비즈니스 서비스 회사인 Affiliated Computer Services(ACS)로 만든 Xerox Business Services 부서를 완전히 분리된 회사인 Conduent로 전환함
- 로스앤젤레스(Go LA)와 덴버(Go Denver)에서 MaaS 앱을 운영하고 있는데, 수천 명의 사용자가 특정 요청에 따라 Point A에서 Point B로 결합된 복합 운송을 작성하고 비용을 지불할 수 있음. 이 앱은 요청된 여행의 기간, 가격, 소비된 칼로리 수 및 다양 한 교통수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까지 계산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와 선호도에 따 라 최상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음
- 2016년 5월부터 특정 공공 및 민간 제공 업체를 통해 여행 및 항공권 구매를 직접 예약할 수 있으며,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환경 설정을 학습하고 개인화된 통근 옵션을 제안하고 ‘My Drive’에 즐겨찾기로 여행을 저장할 수 있음
라. Citymapper : 런던 기반 내비게이션 및 여행경로 등 이동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
- 모든 교통수단을 하나로 통합한 앱으로, 오픈데이터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접목해 필요한 경로를 실시 간으로 빠르게 보여줌. 이와 더불어 대중교통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기 능, 위치 공유 기능, 출퇴근길 자동 알림 등의 독특한 기능을 제공하는데, 자동차용 내비게이션의 개념을 대중교통에 적용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따라가면서 정거장 위치, 대기시간, 하차 알림 등 필요한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제공함. 애플 워치, 안드로이드웨어 등 스마트워치도 지원해 번잡한 길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도 손쉽게 안내를 받을 수 있음
- ‘실시간 위치 공유’ 기능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착시간을 카카오톡, 페이스북 등으로 친구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데, 공유받은 사람은 지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예상 도착시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, 약속 장소로 이동할 때 상대편에게 ‘이제 출발한다’ 고만 알리는 대신에 사용하거나 늦은 저녁 가족에게 안심귀가용으로 사용 가능함
- 모바일을 통한 교통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, 소비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해 주말 밤 시간대의 스 마트 나이트 버스까지 직접 운행함
- 스마트폰의 모바일 앱에서 뿐만 아니라 버스 안에서도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버스 이동 상 황(대기, 이동, 정차)과 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, 탑승 승객 수도 카운트 해 좌석 이용 가능 숫자를 알려 줌
마. Qixxit : 2013년 10월에 국영철도 업체인 도이치반(Deutsche Bahn)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공공 지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함
- 기차, 트램, 버스, 자전거, 택시, 라이드 셰어링 등 21곳 이상의 서비스 제공업체들과 제휴를 맺었어며, 킥 시트 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경로 계획을 수립해주는데, 자동차 공유, 승차 공유, 자전 거공유 옵션을 제공하고, 이상적인 열차 연결 편을 파악해 줌. 가능한 모든 이동 수단을 모두 제시 해 사용자가 비교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특징
- Qixxit의 여행 계획에는 도이체 반(Deutsche Bahn) 및 다른 철도 회사와의 열차 연결이 가 능한데, FlixTrain과 독일 및 유럽 FlixBus 연결이 되며, 항공 여행 옵션은 Qixxit의 파트너 인 Skyscanner를 통해 통합됨
MaaS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제공되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정의, MaaS를 구성하는 이해관계자가 포함된 생태계의 형태와 대표적인 MaaS 플랫폼 및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. 다양한 서비스가 만들어지고, 운영되고 있는 MaaS는 현재 진행형이다. 생태계 기반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보다 협력적이고 긍정적인 모습의 MaaS가 구현되고 운영되길 바란다.